초복중복말복1 복날이 초복 중복 말복 세 번으로 나뉘는 진짜 이유 복날이 한 번이 아니라 초복, 중복, 말복 세 번으로 나뉘어 있는 건 단순히 더위가 길어서가 아니에요. 천문학적 계산과 농경사회의 생활 리듬, 그리고 조상들의 건강 관리 지혜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결과예요. 십간지와 경일로 정해지는 복날의 과학 복날은 음력이나 양력으로 고정된 날짜가 아니라 '경일(庚日)'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정해져요. 하지 이후 세 번째 경일이 초복, 네 번째가 중복, 입추 후 첫 번째 경일이 말복이 되는데요. 경일은 십간(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중에서 '경'이 돌아오는 날을 말해요. 10일마다 한 번씩 돌아오니까 초복과 중복 사이는 딱 10일 간격이에요. 그런데 말복은 입추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중복과의 간격이 10일 또는 20일이 될 수 있어요. 이런 복잡한 계산법을 쓴 이유가 뭘.. 2025. 8. 18. 이전 1 다음